맨위로가기

순릉 (고려 혜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순릉(順陵)은 고려 제2대 왕 혜종(재위: 943년 ~ 945년)과 그의 왕비 의화왕후 임씨의 능입니다.
위치 및 명칭:


  • 현재 위치: 북한 개성특별시 령남면 룡흥리 화곡동 (개성시 고려동)
  • 별칭: 화곡릉, 마전릉, 말구리릉, 추왕릉

형태 및 특징:

  • 고려 왕릉 중 가장 규모가 작습니다.
  • 1916년 발굴 당시 병풍석은 없고 난간석 잔석(일부)만 남아 있었습니다.
  • 2019년 발굴 결과 능역과 3단의 능제가 확인되었습니다.
  • 1단: 봉분, 난간석, 1867년에 세운 비석
  • 2단: 문석인상 2기 (좌우 1기씩)
  • 3단: 정자각 터와 주춧돌
  • 내부 널방에서 왕과 왕후의 관대, 청자, 기와 등 부장품이 발굴되었습니다.

순릉에 대한 논란:현재 전해지는 순릉이 실제 혜종과 의화왕후의 능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 부정적 의견:
  • 순릉 앞에 세워진 비석은 1867년에 세워진 것입니다.
  •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등의 기록에는 순릉이 탄현문 밖 경덕사 북쪽에 있다고 되어 있으나, 현재 순릉은 송악산 동쪽 개성 나성 안에 있습니다.
  • 1957년 북한 발굴 조사에서 '무덤칸도 없는 거짓무덤'으로 판단했습니다.
  • 일제강점기 보고서에는 '전(傳) 혜종 순릉'이라고 표기하여 순릉으로 추정된다고만 언급했습니다.

혜종:

  • 912년 태조 왕건과 장화왕후 오씨의 맏아들로 태어났습니다.
  • 943년 고려 제2대 왕으로 즉위했으나, 945년에 사망했습니다.
  • 얼굴에 곰보 자국이 있어 '추왕'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순릉 (고려 혜종)
기본 정보
요(堯)
시호공숙대왕(恭肅大王)
능호순릉(順陵)
재위 기간943년 ~ 945년
왕(王)
본관개성(開城)
고려 태조 왕건의 가족 관계도
고려 태조 왕건의 가족 관계도
가족 관계
아버지태조(太祖)
어머니장화왕후(莊和王后)
배우자후비(后妃)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왕씨(王氏)(생몰년 미상)
왕족계비(繼妃)
의화왕후(義和王后) 김씨(金氏)
후궁(後宮)
궁인(宮人) 애기(艾姬)
자녀왕자(王子)
경춘원군(慶春院君)
왕녀(王女)
명혜부인(明惠夫人)
기타
매장지북한 개성시 봉동군 오룡산 소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